계원예술대학교 시각디자인과 2022. 8. 21. 16:49

타이포그래피 수업의 햄릿 텍스트를 받고 개인적인 해석을 담아서 미니북 사이즈의 북 편집 작업을 했다. 희곡 텍스트에서 계층별 대화가 있다는 점에 주목하여 각 계층의 그리드를 나누고 해당 인물의 대사가 지정된 그리드를 넘지 않는 규칙을 적용하였다.

 

가장 상단부분은 왕족, 중간부분은 왕궁 신하들과 햄릿, 오필리아, 하단은 배우 셋으로 구분한다. 기본형식에서 변주가 되는 부분은 인물간 대화를 하는 부분인데, 책을 보는 이로 하여금 책장을 넘길 때 대화를 주고받는 것처럼 보이기도록 연출하기 위해 선을 따라 페이지를 자르는 작업을 했다.

 

인물 1의 대화가 끝나면 다음장으로 넘겨 인물2의 대화를 확인 할 수 있다. 본문 바로 밑에 주석이 표시되는 희곡 텍스트와는 다르게 인물간의 대화의 흐름에 집중할 수 있도록 주석 페이지는 인물들의 대사와 분리하여 단독으로 구성했다. 수석은 인물 별로 구분하였으며 페이지 번호를 보고 찾아갈 수 있도록 페이지 번호도 표시해주었다. 종이의 지면으로 옮기는 작업을 한 뒤에 웹으로 구현하는 작업을 진행했다. 구성은 크게 바뀌지 않되, 주석은 해당 문장 위에 마우스를 올리면 표시되는 형식으로 바꾸었다. 버튼을 누르면 페이지가 이동하여 마치 e-book을 읽는 듯한 느낌을 준다.

  • 박혜진
  • joyhyejin@naver.com